갤러리 공간에 대한 사고 실험, <포인트 카운터 포인트>
갤러리 공간에 대한 사고 실험
<포인트 카운터 포인트> 아트선재센터, 2018.3.3 -4.8
글 조은채
<포인트 카운터 포인트>는 그 제목이 암시하듯 ‘대위법(counterpoint)’으로 전시를 풀어냈다. 대위법은 음의 수평적 결합을 중시하는 작곡 방식으로, 선율적인 독립성을 갖춘 여러 성부를 필요로 한다. 음표 대 음표라는 이 구호 아래에서 구성된 전시에서 음표 혹은 선율이 무엇인지는 꽤 분명해 보인다. 간편하지만 동시에 가장 정확해 보이는 선택지는 김동희, 김민애, 오종, 이수성, 최고은이라는 다섯 명의 작가를 각각의 선율로 가정하는 것이다. 대위법적 음악이 결국 다성음악을 가리킨다는 점에서 다른 성격을 지닌 다섯 작가가 <포인트 카운터 포인트>라는 하나의 완결된 전시로 조화를 이룬다고 결론지어버릴 수도 있다. 그러나 이 전시가 아트선재센터의 2층과 3층에서 무척 다른 방식으로 연동하고 있다는 점을 상기해야 한다. 같은 작가라고 하더라도 층에 따라 다른 작업을 전개하면서, 2층과 3층이라는 물리적인 층위조차도 별개의 멜로디가 되어 대위법을 구현한다. 층은 흔히 수직적인 개념으로 여겨지지만, 층과 층 사이의 관계는 수평적이라는 사실이 암시된다. 아트선재센터의 갤러리 공간(gallery space) 1 역시 단순히 배경이 아니라 작업의 질료이자 발생원인으로 전시에 적극적으로 개입한다. 이 공간이 평범한 정육면체가 아니라 사분원이라는 점에서 전시에 관한 상상력에 활력을 불어넣기도 한다. 결국, <포인트 카운터 포인트>에서 작가뿐만 아니라 작업, 층, 공간, 혹은 갤러리 공간과 같은 전시의 모든 구성 요소는 독립적인 선율이 되어 수평적으로 결합된다.
<포인트 카운터 포인트> 2층 전시 전경
<포인트 카운터 포인트>의 2층은 우리가 미술관이라고 했을 때 가장 먼저 상상하곤 하는 화이트 큐브를 떠올리게 만든다. 온통 하얗게 칠해져 있는 벽으로 둘러싸인 공간에 드문드문 자리 잡고 있는 작품들은 공간에 원래 있던 건축 구조물인 기둥과 별 차이가 없어 보이기도 한다. 하지만 이 화이트 큐브를 닮은 공간에 들어서기 전에 김동희의 ‘볼륨: 타입 1,2’가 있다. 호텔의 로비를 재현한 것 같은 이 작업은 꽤 넓은 면적을 차지하고 있음에도 오히려 작품이라고 인지하지 못한 채로 지나쳐버리기 쉽다. 관람자는 전시의 제목이 쓰여 있는 가벽, 즉 보편적으로 전시의 시작이라고 이야기되는 것 이전에 이 작업을 보기 때문이다. 김동희는 전시의 주어진 구획을 말 그대로 넘어서는 공간에 다른 장소의 레퍼런스를 빌려와 ‘머물 수 있는’ 작품을 만들어낸다. 그리고 김동희의 작업에 머물지 않아야만 본격적인 전시 공간으로 입장할 수 있다. 그의 작업 너머에는 오종의 ‘방 드로잉(모노크롬) #4’과 이수성의 ‘무제(Quarter Pipe)’ 그리고 김민애의 ‘소실선’이 기다리고 있다. 오종이 아크릴판, 실, 연필과 같은 다양한 재료를 여러 방식으로 중첩시킨 설치에 가까워 보이는 ‘방 드로잉(모노크롬) #4’에 모노크롬(단색화)이라는 이름을 붙였듯이, 그의 작업은 공간 자체를 도화지로 삼은 드로잉 실험처럼 보인다. 플라스틱의 일종인 PVC로 만들어진 김민애의 두 개의 임시구조물 ‘소실선’은 그 외관에서 울타리를 연상하게 하면서 전시장의 한쪽 면이 곡면이라는 사실을 인지하게 한다.
<포인트 카운터 포인트> 3층 전시 전경
3층에 들어서자마자 보이는 것은 한쪽 벽면을 빼곡하게 채운 서른 개 정도의 거울, 즉 김동희의 ‘볼륨: 타입 1,2’이다. 김동희는 벽면에 기대어 곡선으로 나열된 거울을 통해 2층에서 김민애의 ‘소실선’이 했던 것처럼 전시장의 구조가 사각형이 아닌 사분원이라는 것을 알려준다. 대부분의 벽걸이형 전신 거울은 벽에 딱 붙어서 뒷면을 볼 기회가 좀처럼 없다. 그러나 호(弧) 위에 설치된 김동희의 작업은 필연적으로 그 뒷면을 노출하면서 공간의 형태를 선명하게 드러낸다. 최고은의 ‘화이트 홈 월’은 에어컨의 절단된 외피를 가져와 그 앞과 뒤를 가감 없이 보여주지만, 결국 그 재료 자체는 껍데기에 불과하다. 그러나 그는 표피에 남은 시간의 얼룩을 전시장 안으로 가져오는 것에 성공하면서, 전시에 시간성이라는 새로운 흐름을 부여한다. 검은 포켓볼 공 15개를 흩뿌려 놓은 김민애의 ‘검은, 분홍 공’은 꽤 넓은 공간 그리고 큰 규모의 다른 작업 사이에서 사뭇 다른 리듬을 띤다.
이수성 '무제(Quarter Pipe)' 2018, 각각 MDF위에 페인트, 합판 위에 왁스, 1821 x 1012 x 1904 mm.
2층과 3층에서 유일하게 같은 형태의 작업을 선보이는 이수성을 중심으로 <포인트 카운터 포인트>를 다시 살펴본다면, 공간을 질료로 삼았다는 알기 쉬운 공통점 사이의 균열을 읽어낼 수 있다. 이수성의 작업은 전시의 나머지 작업과는 다른 좌표 위에 있다. 이 공간을 사분원 모양의 중립적인 공간으로 파악하는지 혹은 ‘갤러리 공간’으로 이해하는지에 관한 인식 차이가 작업의 결을 다르게 만들기 때문이다. 이수성의 작업에는 모두 ‘무제(Quarter Pipe)’, 즉 이름 없음과 스케이트 파크의 쿼터 파이프를 동시에 의미하는 제목이 붙여졌다. 쿼터 파이프와 똑같이 생겼지만 그 기능은 완전히 탈각된 ‘무제(Quarter Pipe)’가 2층에는 두 개, 3층에는 한 개씩 놓여 있다. 이수성의 ‘무제(Quarter Pipe)’ 시리즈는 미술관 건물이 사분원 형태라는 것을 인지할 때 그 의미가 더욱 선명해진다. 이수성은 쿼터 파이프 위에 아트선재센터의 건물을 덧붙이는 상상을 하도록 권유한다. 이수성이 2층의 작업을 동일한 비율로 크기만 줄여서 3층에 선보였듯, 이 공간 자체를 비율은 그대로 크기만 압축해서 쿼터 파이프에 끼워 맞춰보는 것이다. 쿼터 파이프와 전시장의 곡면은 서로 맞물리고, 왠지 익숙한 직육면체가 완성된다. 다른 작업들이 다양한 방식으로 갤러리 공간을 해석하고 활용하면서 대위법적으로 결합되었다면, 이수성은 완성된 곡 너머의 것을 증명하는 사고실험(thought experiment)을 설계한다. <포인트 카운터 포인트>가 공간까지도 작업의 질료로 삼는 전시라고 하더라도, 결국 ‘갤러리 공간’은 화이트 큐브로 환원될 수 있다는 점을 지각하고 있는 것이다. 이수성은 ‘갤러리 공간’이 ‘공간’이라는 개념과 비교했을 때 갖는 특수성을 감각할 수 있는 형태로 시각화해낸다.
다섯 명의 작가는 자신에게 할당된 공간의 범위에 작업을 한정하지 않는다. 그들은 배분된 공간을 단순히 나눠 쓰는 것을 넘어서서, 주어진 영역 너머를 점유하기 위해서 분투한다. 대위법이 개별 성부의 합의된 긴장으로 곡을 완성하듯이, 작가와 작업, 층, 공간 사이의 긴장을 통해 <포인트 카운터 포인트>가 완성된다. 아무런 사운드 효과도 없이 얼핏 정적으로 보이는 이 전시는 사실 그 표면 아래에서 끊임없이 진동하고 있다. 그리고 이수성의 ‘무제(quarter pipe)’는 이 독립적이고 수평적인 선율들과 조응하면서도, 한발 더 나아가 ‘갤러리 공간’에 관한 결정적인 사고실험을 제안한다.
사진 제공 : 아트선재센터
- 글은 브라이언 오도허티(Brian O'Doherty)의 글 「갤러리 공간에 대한 언급들」에서 그가 ‘갤러리 공간(gallery space)’이라는 용어를 사용한 방식을 참고했다. [본문으로]
'text'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재료로서의 이미지, 방법론으로서의 프로그램 : 선셋밸리 이미지 시뮬레이터 (0) | 2018.09.03 |
---|---|
전시들, <Exhibition of Exhibition of Exhibition> (0) | 2018.06.27 |
시점으로 조형하기, <포인트 카운터 포인트> (0) | 2018.06.23 |
도쿄특집 01 - 데이터로 보는 도쿄 전시공간 (0) | 2018.05.01 |
도쿄특집 02 - 여전히 저장되며 살아남은 캐릭터에 대하여, 스기모토 켄스케 <수십 년이나 전에 죽었다.> (0) | 2018.05.01 |